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알림마당

홍보동영상

프린트
페이지당 목록갯수 선택

  • 전체 42
  • 페이지 1 / 11

고위험 건설기계 안전성 평가 및 관리 기술개발
  • 작성자 최영현
  • 작성일 2024-10-22

건설기계는 사고시 심각한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잇으므로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성 평가와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건설기계 분야는 원격 조정 ict 기술 적용 등으로 점차 고도화되고 있지만 이에 맞는 체계적인 안정성 평가를 위한 기술 개발은 미흡한 실정입니다.
고위험 건설기계 안정성 평가 및관리기술 개발
고위험 건설기계 안정성 평가 및 관리 기술 개발 사업
과제 배경
건설기계 사고로 인해 매면 1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크레인 일부가 300미터나 날아가...
화물차 적재 20m 길이 타워크레인 부품 추락... 전봇대 파손...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어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 타워크레인이 갑자기 꺽이면서 구조물 일부가 추락하는 상황입니다. 본과제 개발을 위해 27종의 건설 기계중 위험도 활용도 기술개발도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4종의 건설기계(기중기, 타워크레인, 항타기 및 항발기, 굴착기)를 본 사업에 적용 대상으로 선정했습니다.
고위험 건설기계 안정성 평가 및 관리 기술 개발 사업
과제 추진 계획
본과제는 23년도를 시작으로 5차년도 동안 진행되는 연구로 고위험 건설기계의 안정성 검사 기술을 고도화하고 통합적인 관리기술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건설기계관리에 근본적인 체질 개선과 안정성 제고를 위해 각 분야의 전문기관들이 참여합니다.
건설기계 관리 및 검사를 맡고 있는 대한건설 기계 안전 관련을 중심으로 유압 부품 모델 분야는 한국 생산 기술 연구원이 금속 강구조물 분열은 한국건설 생활환경시험 연구원이 전기 및 전자부품 분야는 키 연구원이 건설기계 구조 및 통합 안전 분야는 건설기계 부품 연구원이 이에 관계자 의견 수렴 및 보급 확산을 위해 한국 건설기계 산업협회가 참여합니다.
고위험 건설기계 안정성 평가 및 관리 기술 개발 사업
세부 기술 개발 내용
본 사업으로 연구 개발될 세부 기술 개발 내용입니다.
건설기계특성상 주로 현장에서 장비 외관을 확인하는 유관검사가 진행되기 떄문에 내부의 부식이나 균열 등을알 수 없었고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검사 결과를 얻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본과제의 안정성 검사기술 개발은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모멘트 개측 시스템을 갖춘 이동형 안정성 검사 차량 등을 구성하여 보다 더 정밀하고 객관적인 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현재 건설기계 관리법이 정하고 있는 부품 인증 대상은 파워크레인의 부품 4종뿐으로 안정성을 확보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는 실정입니다. 본 과제의 건설기계 부품 및 모듈별 안정성 시험 인증 기술개발로 고위험 건설기계의 내정으로 부품및 모듈 인증이 확대되며 품질과 규격을 검증받은후 사용할수있게 됩니다. 인증된 제품은 고유한 시리얼 번호가 부여되어 중앙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사 관리 이력 제작 결함정보등을 검색할 수있게 되는 등 건설기계 생애주기별 통합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할수있게됩니다. 향후 건설기계의 운행 기록계의 정보와 기계의 사고 이력 차대1년 번호 체계등의 통합된 건설기계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보다 더 안전한 건설기계 사용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본과제를 통해 고위험 건설 기계의 안정성 평가 기술을 확보하고 통합적인 안전관리 시슽엠을 개발하여 보다 더 안전한 건설기계 사용 환경과 대한민국 산업현장을 만드는데 앞장서겠습니다.